[‘5월 광주, 이주민의 목소리’]
1. 제안 배경
민주·인권·평화의 도시를 표방하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은 과연 세계인권도시로서의 광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및 외국인 유학생들이 광주에 거주하면서 느끼는 불편과 불만을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인권도시로서의 광주의 현실을 점검하고, 전문가들과의 상담을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고자 한다. 5·18 광주정신은 아시아 민주주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고, 현재 이주민들이 생각하는 광주의 인권지수를 살펴봄으로써 명실상부한 인권도시로서의 위상을 지켜나가고자 한다.
2. 행사 개요
○ 일시 : 5월 17일(일) 오후 1시 ∼ 3시
○ 주관 : 유니버셜문화원, 아시아밝음공동체
○ 후원 :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법학연구소 동아시아법센터, 법무법인 소리, 노무법인 충무, 광주이주민건강센타
3. 추진 방안
○ 5·18민중항쟁 소개 자료 사전 제공
광주에 거주하는 이주민들에게 5·18민중항쟁을 소개하는 자료를 각 나라의 언어로 번역하여 사전 제공
○ 5월 17일 당일 행사장에서 ‘신문고’를 두드리고 자유발언 진행
광주에 살아가면서 느끼는 생각과 고충들을 이주민 동료, 광주시민들이 보는 앞에서 자유발언 형태로 진행
○ 노무, 법률, 의료 등 관련 상담 현장 진행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현장에서 현장 소통 공간 마련
○ 이주민들의 자국 음식 마련하여 점심 제공
평소에 먹고 싶었던 이주민들의 자국 음식을 이주민들이 함께 마련하여 점심 식사
4. 추진 일정
○ 3월 : 주관 단체 미팅, 세부 행사 기획 ○ 4월 : 5·18민중항쟁 소개 자료 번역 및 배포
○ 5월 17일 : ‘5월 광주, 이주민의 목소리’진행(12시 점심, 1시 자유발언, 2시 개별상담)
5. 세부 준비사항
○ 5·18민중항쟁 소개 자료 번역 및 배포
베트남, 스리랑카, 미얀마, 캄보디아, 네팔,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아, 필리핀, 몽골, 중국(10개국)
○ 각 나라별 리더에게 역할 부여 - 자료 번역 및 배포, 참여인원파악, 발표내용정리, 발표자 지정, 상담시 통역 ○ 음식 준비
○ 전문 상담가 섭외
- 민병로(전남대학교법학연구소 동아시아법센터장, 전남대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신광섭(변호사, 법무법인 소리) - 육성영(노무사, 노무법인 충무 대표)
- 이용빈(의사, 광주이주민건강센타장) - 바수무쿨(유니버셜문화원 원장)
- 김남진(아시아밝음공동체 소장)
제3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 '아시아 이주민의 목소리'
일시: 2015년 5월 17일 1시~3시
장소: 금남로공원(금남로 4가역 1번 출구)
한국에 있는 사람들이 광주를 생각할 때 두 가지 이미지를 떠올린다. 정치적으로 정의의 고장이고, 문화적으로 독특한 음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광주는 현대 한국의 역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한국 민주화 운동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던 것이 5·18 광주 민중 항쟁이다.
1979년 군사정권을 이끌던 박정희가 죽자, 전두환을 비롯한 신군부세력은 정권을 장악하려고 하였다. 이에 국민들은 자유와 민주주의를 요구하면서 신군부세력에 반대하는 시위를 하였다.
1980년 5월 18일 전남대학교 학생들은 학교 앞에서 평화롭게 시위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신군부세력은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광주에 공수부대를 배치하였다.
공수부대의 학생 시위 진압 방식은 매우 잔혹해서 많은 학생들이 죽거나 다쳤다. 당시 거리에 서 있던 시민들은 눈 앞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잔혹한 시위 진압을 믿을 수가 없었다. 시민들은 인간의 존엄성이 무너지는 광경을 목격하게 되었다.
결국 광주 시민들은 학생들과 함께 시위를 하게 되었다. 이에 군인들은 어쩔 수 없이 광주에서 철수를 하였다. 광주는 갑자기 법질서의 공백상태가 되었다.
군인들이 광주에서 철수 한 후 광주는 법질서의 공백상태가 되었지만 이례적인 일이 발생했다.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이나 골목길에 있는 작은 가게에서도 약탈행위는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혼돈이 일어난 대신 광주 시민들은 서로 피와 음식을 나누는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계엄군이 다시 진입해오는 것에 대비하여 시민군을 만들었다. 5월 18일 이후 10일만인 5월 27일 계엄군이 시민군을 잔혹하게 진압했다.
그러나 여러분은 계엄군의 항복을 요구하는 최후통고를 거절하고 끝까지 싸운 시민들을 기억해야 합니다. 정의가 아닌 것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절하는 것이 광주정신입니다.
시민군은 싸움에서 졌지만 결국 전쟁에서 이긴 것입니다. 시민군의 마지막 메시지는 “우리 모두를 죽여라,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당신들이 얼마나 잔혹한지를 보여라, 그리고 당신들의 남은 삶 동안 그 책임을 짊어져라”입니다.
군사정권은 자신들이 광주에서 큰 실수를 저질렀다는 것을 깨닫고, 몇 년 후 민간인들에게 정부를 넘겨야 했습니다. 결국 광주는 한국사에서 군사지배를 멈추게 한 마지막 정거장입니다.
세계에는 시민들의 항쟁이 많이 있었지만 광주 시민 항쟁과 같은 것은 보기 어렵습니다. 이 점이 광주시와 광주시민들이 자랑스럽게 여기는 점입니다.
광주에는 최근 이주유학생, 이주노동자 및 국제결혼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여러나라에서 이주해오고 있습니다. 몇몇 이주민들은 그들의 생활에서 불가피하게 또는 불필요하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만일 이주민 여러분들이 단지 외국에서 이주해왔다는 이유로 불공평하게 대우받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인권침해행위입니다. 만일 이러한 인권침해가 있다면 저희에게 연락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이 살고 있는 도시는 인권도시입니다. 그러므로 당신이 누구이든 무슨 일을 하든 당신 자체로 존중받아야합니다.
우리의 목표는 평등하게 모든 사람을 대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편하고 안전하게 살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주민 여러분들의 크고 명확한 목소리를 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광주를 보다 더 좋은 공동체로 만들려는 여러분들의 협력을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제35주년 5·18민중항쟁 기념행사위원회
35th COMMEMORATIVE EVENT FOR THE MAY 18 PEOPLE'S UPRISING
'Asian Migrant's voice'
When: 17 May 2015 1~3p.m.
Where: GeumNam-ro Park(GeumNam-ro 4th street station entrance number 1)
When anyone in Korea think of Gwangju, it' comes up with two separate images politically and culturally. Traditionally, Gwangju has been known to be the town of justice and the authentic Korean foods.
Gwangju had played a pivotal role which shaped Korea as of today. It's being called as 'Gwangju Citizens' Uprising' which was the turning point for the Democratizing movement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hen the new military regime under Gen. Chon Doo Hwan took over the government after a death of Gen. Park Chung Hee a leader of former military regime, the people in Korea hold the protest rallies against the new military regime nationwide for freedom and democracy.
May 18 of 1980, the student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eld the protest rally in front of the University peacefully. The new military regime dispatched the special armed troops to Gwangju for cracking down the protest rallies on the streets.
The way of cracking down on student's rally was so brutal that some of students were killed right on the spot and so many students were injured. By standing citizens on the streets at that time watching the brutal scenes and they couldn't believe their eyes what was happening right in front of them. After all, they witnessed the collapse of human dignity.
The citizens joined the students and it led to the citizens' uprising citywide eventually. When the military was shocked to learn that whole citizens in town are uprising, they withdrew their troops from the city. Suddenly the town became a vacuum of law and order.
What had happened in the city after the military withdrew their troops from city and no existence of law and order in the big city was truly the most extraordinary things and stories you have never seen or heard before. No looting the stores not even a small Mom & Pop stores in the alley or any financial institutions like bank.
Instead of chaos, the citizens built a beautiful community helping each others sharing the bloods and foods, and they even formed the militia to keep the town from the government's troops for retaking over the city. It's been gone for 10 days until the government's troop's brutal attack.
However, you must remember the militia that trying to defend the city refused the ultimatum which demanded surrender without any condition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That's the Spirit of Gwangju refusing to accept the injustice.
Lost the battle but won the war in the end. That's what happened in Gwangju. The final message of the militia was "Kill us all and show to the whole world how barbaric you are and take that burden with you to the rest of your life."
The military government realized they have made a big mistake in Gwangju and had to hand their government to civilian a few years later. After all, Gwangju is the final station of stopping the military domination in Korea.
There were people's uprising throughout the world, however, you can hardly find the people's uprising like Gwangju Citizens' Uprising. That's what the special about this city and the citizen of this city are being proud of.
The new members of our community have been arrived recently from various part of the world for school, work or through the marriage recently. We realized some of them are experiencing the difficulties inevitably or unnecessarily in their daily lives.
If you think you are unfairly treated because of you are from oversea or a kind of treatment you got was a violation of Human Rights, please, tell us. We would like to help you, if there is any. The city you are living is the City of Human Rights. Hence, regardless who you are and what you are deserving to be treated as it said.
Our goal is to keep our city it's promise to treat equally evryone, so every member of our community could live comfortably and safely.
Hope we would like to hear your many voices loud and clear and also expect your collaboration to make our city better together. Thank you.